안녕하세요, 오늘은 노션 사용법 중
콜아웃(Callout) 블록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이야기해 볼 내용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콜아웃 블록에 대한 기본 설명
2. 콜아웃 블록 안에 구분선 등의 다른 블록 넣기
3. 콜아웃 블록 첫 줄 폰트 스타일 바꾸기
4. 콜아웃 블록 안에 열 나누기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콜아웃(Callout) 블록?
우선 노션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콜아웃 블록이 무엇인지, 어떻게 추가하는지 간단하게만 살펴보겠습니다.
콜아웃 블록은 특정 내용을 강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콜아웃 블록의 예시입니다.
콜아웃 블록을 추가하는 방법은 /콜아웃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시거나
새로운 입력줄 좌측의 + 기호를 눌러 나타나는 메뉴에서 콜아웃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콜아웃 + Enter
콜아웃 블록에서 변경 가능한 기본적인 요소는 2가지입니다.
1. 이모지
콜아웃 블록의 좌측 이모지는 클릭 후 나타나는 메뉴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글자색/배경색
콜아웃 블록에서의 글자색과 배경색은 기본적인 방법과 마찬가지로 /색 또는 /배경을 입력 후 키보드 방향키로 원하는 색상을 선택 후 Enter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물론 마우스도 가능하죠.
/색 또는 /배경 + 원하는 색상 선택 후 Enter
하지만! 오류인지는 모르겠으나, 슬래시(/)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글자 또는 배경 중 한 가지 색만 변경 가능합니다. 글자색을 변경 후 배경색을 변경하면 글자색이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배경색을 변경 후 마우스를 이용해 글자색을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배경색을 먼저 변경해 주는 이유는 글자를 드래그 후 마우스를 이용해 배경색을 선택해 주면, 기본 텍스트 블록에서 배경색을 바꾸는 것처럼 해당 텍스트의 배경색만 바뀌기 때문입니다.
콜아웃 블록 응용 방법
이번에는 제가 콜아웃 블록을 응용하는 방법 3가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윤곽선으로 사용하기
여러 가지 블록을 드래그하여 콜아웃 블록에 넣기
콜아웃블록 안에 구분선, 텍스트 블록, 데이터베이스 등을 넣어 윤곽선으로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콜아웃 블록을 생성하고 어떤 블록이든 좌측의 크리링처럼 생긴 점 6개 기호를 클릭한 상태로 드래그하면 콜아웃 블록 안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2. 콜아웃 블록 첫 줄 스타일 바꾸기
$$내용$$ 으로 공식을 만든 후 편집
콜아웃 블록을 이리저리 사용하다 보면 첫 줄의 글씨크기가 너무 작다고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간단한 방법을 이용해 글씨 크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바로 우리의 공식블록입니다.
하지만, 다른 블록처럼 밖에서 공식블록을 만들고 드래그해서 가져오는 방식이 아니라 마크다운을 이용해 만들어야 합니다.
달러표시 두 번 $$으로 열고 닫아주면 수학공식블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다음 해당 공식 블록을 선택해 이전에 말씀드린 대로 역슬래시(\)를 이용해 띄어쓰기, 폰트스타일, 색상 등을 바꿔주시면 됩니다.
3. 콜아웃 블록 내에서 열 나누기
인라인페이지 → 다단 열 내용 작성 → 콜아웃으로 전환
콜아웃 블록 내에서 열을 나누는 방법은 꽤 번거롭습니다.
다단 열로 배치한 텍스트 블록을 한 번에 옮기면 그냥 여러 행으로 바뀌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다단 열의 콜아웃 블록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인라인 페이지를 만들어 줍니다.
② 인라인 페이지 내에 내용을 다단 열로 작성합니다.
③ 이전 페이지로 돌아와 점 6개 기호를 클릭하고, 메뉴에서 전환 > 콜아웃을 선택합니다.
④ 이 과정을 거치면 열이 나뉜 콜아웃이 작성됩니다.
여기까지 노션 콜아웃 블록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Notion > Notion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ion] 마크다운이 없는 노션은 노션이 아냐! (0) | 2023.05.29 |
---|---|
[Notion] 글자/배경색 바꾸는 2가지 방법 (1) | 2023.05.29 |
[Notion] 수학공식 노잼 글씨체 바꾸기 (0) | 2023.05.28 |
[Notion] 가운데정렬 가능할까? (3) | 2023.05.28 |